HIV 감염 경로와 확률: 정확한 데이터와 확실한 예방 방법 2가지

※본 글은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한 글이며, 직접적인 의료 조언과 치료제를 홍보하는 글이 아님을 명확하게 밝힙니다. 

※또한 모든 정보는 객관적으로 작성했으며, 특정 집단에 대한 편견이나 비판은 절대 포함하지 않습니다.

본 글은 HIV(에이즈)의 감염 경로와 확률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며, 잘못된 정보와 오해를 바로잡기 위해 작성된 글입니다.

오늘은 여러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에이즈(AIDS), 정확히는 HIV 감염 경로와 확률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HIV는 어떻게 감염이 될까요? 몇몇 바이러스와 비슷하게 HIV 바이러스를 가진 사람에게로부터 감염이 되는데요.

아이러니하게도 이 무시무시한 HIV 바이러스 자체는 다른 바이러스에 비해 매우 약해서 쉽게 감염이 되지 않습니다(만약 HIV가 전파력이 매우 강하고 생존력이 강인했으면 사람은 HIV에 쉽게 감염이 됐을 거고, 인류는 빠르게 멸망했을 겁니다).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만 해도 그냥 공기 중으로 매우 쉽게 감염이 됐잖아요? 하지만 HIV 바이러스는 공기 중에서는 생존할 수 없기 때문에 공기 중 전파 및 감염이 불가능합니다.

이 점은 HIV가 다른 감염 성 질병과 구별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죠.

서론이 길었습니다. 본론으로 들어와 HIV 바이러스의 주요 감염 경로와 확률에 대해서 이제부터 자세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이 정보는 최신 HIV 관련 연구 논문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정확성을 위해 공인된 데이터를 참고했습니다.

HIV 감염 경로와 주요 특징

HIV는 혈액, 정액, 분비액, 모유 등 우리 몸 안에 있는 체액을 통해서만 전염됩니다.

HIV 환자와 악수를 하거나, 포옹을 하거나, 목욕을 같이 하거나, 화장실을 같이 쓰거나, 같이 밥을 먹어서는 절대로 감염되지 않습니다. 감염 확률 0%입니다. 

이러한 경로로 감염이 됐다거나, 희박하지만 가능성이 있다는 말은 전부 헛소문입니다. 이러한 경로는 절대로 감염되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간혹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피를 빨아먹은 모기가 자신을 물었을 경우 감염되지 않냐고 걱정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HIV 감염은 모기 물림으로 절대 전파되지 않습니다.

이는 과학적으로 증명이 된 사실입니다. 제발 걱정하지 마세요.

HIV 감염은 반드시 체액을 통해서 바이러스가 직접 몸 안으로 들어와야 감염이 됩니다.

이점을 반드시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HIV 감염 확률은 상당히 낮습니다. 하지만 100% 감염되는 감염 경로도 존재합니다.

감염 확률이 높은 경우부터 순서대로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감염자의 피를 수혈한 경우

HIV_감염_경로_수혈

HIV에 100% 감염되는 경우는 바로 HIV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을 수혈하는 것입니다.

이 경우는 HIV 바이러스를 그냥 내 몸 안에 넣은 것입니다. 그러니 당연히 100% 감염됩니다.

100% 감염이 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겁을 먹고 걱정을 하시는데요.

하지만 병원에서는 수혈 전 피 검사를 진행하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그리고 사전에 헌혈된 피를 대상으로도 정밀 검사를 진행하며, 이때 HIV 검사는 필수로 진행합니다(그래서 간혹 헌혈로 인하여 HIV 감염 사실이 확인된 사람들도 있습니다.)

후진국에서는 종종 발생하는 사례가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일어날 확률이 극히 매우 드물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감염자가 출산 및 모유 수유를 한 경우

HIV_감염_경로_출산_수유

이미 HIV에 감염된 산모가 아이를 출산할 경우, 출산된 아이는 약 25~30% 확률로 HIV에 감염됩니다.

만약 이 사실도 모른 채 산모가 아이에게 모유 수유를 하는 경우 감염 확률이 더 올라가게 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출산 전 사전에 피 검사를 통해서 HIV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이 경우도 현실적으로는 일어나기 어렵습니다.

단, 간혹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실을 알고 출산을 계획하는 부모도 있습니다.

이 경우 항레트로바이러스제를 복용하여 바이러스 수치를 낮춘 다음에 출산을 진행하며, 해당 병원에서 안내를 해줍니다.

주사기를 공동으로 사용한 경우

HIV_감염_경로_주사기_사용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과 함께 주사기를 공동으로 사용할 경우 0.5~1% 확률로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외국에서는 약물 때문에 단체로 공동 주사기를 사용하여 HIV 걸리는 사례가 적지 않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상당히 드문 사례였으나, 현재 약물 청정국에서 점차 멀어지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사례 발생하고 있습니다.

불과 작년에 남성 60명이 환각 파티를 하였는데, 60명 모두가 HIV 바이러스에 감염된 충격적인 일이 발생했습니다.

이미 HIV 감염된 사람들끼리 만난 것인지, 주사기가 아닌 다른 경로로 감염이 된 것인지는 기사에 정확하게 나왔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주사기를 공동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사가 궁금하신 분들은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기사 보러 가기

감염자와 성관계를 한 경우

HIV_감염_경로_성관계

마지막으로 많은 분들을 포비아에 빠지게 하는 경로입니다. 바로 성관계입니다.

성관계는 사실상 HIV 감염 경로 중 확률이 가장 낮습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HIV 감염의 주요 경로는 성관계입니다.

성관계의 경우 성별과 행위 유형, 상황에 따라서 감염 확률이 크게 달라집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성관계로 인하여 HIV에 감염될 확률

성관계의 경우 남성이 HIV 감염자일 경우, 여성이 감염자일 경우, 그리고 어떠한 성별끼리 관계를 가졌냐에 따라서 HIV 감염 확률에 차이 발생합니다.

우선 성관계로 HIV가 감염되는 메커니즘은 아래와 같습니다.

남성이 성관계로 HIV에 걸리는 이유

  1. 피임 기구 없이 체내 사정 시 열린 요도 입구로 여성 체액 안에 존재하는 HIV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감염
  2. 요도 점막으로 HIV가 침투하여 감염
  3. 성기에 발생한 상처로 HIV가 침투하여 감염 등

여성이 성관계로 HIV에 걸리는 이유

  1. 감염된 남성의 정액 안에 존재하는 HIV가 질 내 점막으로 침투하여 감염
  2. 성관계 발생한 상처로 HIV가 침투하여 감염 등

참고로 신체 구조 상 남성보다 여성이 HIV에 감염될 확률이 높습니다.

다음으로 성관계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감염 확률을 자세히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HIV 감염 남성이 비감염 여성을 감염 시킬 확률

비감염 여성HIV에 감염된 남성일반적인 성관계를 했을 경우, 여성이 HIV에 감염될 확률은 약 0.1%입니다.

즉, HIV에 감염된 남성과 1,000번의 관계를 맺으면 1회 감염될 확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르게 말하면 HIV에 감염된 남성과 관계 한 여성 1,000명 중에서 1명이 감염될 확률입니다.

그리고 감염된 남성의 포경 수술 여부에 따라서도 감염 확률의 차이가 존재하는데요.

포경 수술을 한 경우 바이러스 전파율이 좀 더 낮아집니다.

참고로 자연 포경의 경우 상시 표피가 완전히 벗겨져 있는 상태여야 포경 수술을 한 것과 동일한 경우로 볼 수 있습니다.

확률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HIV_감염_경로_성관계_감염_확률_1

HIV에 감염된 남성이 비감염 여성을 감염시킬 확률  

  • 평균 감염 확률: 0.1% (1,000번 중 1회 감염)
  • 포경 수술 여부 없음: 0.08% ~ 0.2% (1,000번 중 0.8~2회 감염)
  • 포경 수술 여부 있음: 0.04.% ~ 0.1% (1,000번 중 0.4~1회 감염)

HIV 감염 여성이 비감염 남성을 감염 시킬 확률

반대로 비감염 남성이 HIV에 감염된 여성과 일반적인 성관계를 했을 경우, 남성이 HIV에 감염될 확률은 약 0.05%입니다.

즉, HIV에 감염된 여성과 2,000번의 관계를 맺으면 1회 감염될 확률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르게 말하면 HIV에 감염된 여성과 관계 한 남성 2,000명 중에서 1명이 감염될 확률입니다.

아마 대다수의 에이즈(HIV) 포비아 분들이 해당되는 경우일 겁니다.

하지만 보시다시피 여성으로부터 남성이 감염되는 확률은 상당히 낮습니다.

이는 앞서 설명했다시피 남성보다 여성이 바이러스에 좀 더 쉽게 감염되는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여기 서도 남성의 포경 수술 여부에 따라서 감염 확률에 차이가 존재합니다.

나중에 좀 더 자세히 설명을 드릴 테지만, 간단하게 설명을 드리겠습니다.

포경 수술을 하면 왜 HIV 감염 확률이 낮아질까?

  1. 포경 수술을 하지 않은 남성의 경우 귀두가 상시 표피로 덮여있기 때문에 촉촉한 점막 상태가 유지된다.
  2. 촉촉한 점막은 바이러스가 침투할 수 있는 형태이다.
  3. 반대로 포경 수술을 할 경우 귀두가 상시 노출되어 점막 상태가 아니게 됩니다.
  4. 그러므로 바이러스가 침투하기 어렵다.

만약 본인이 포경 수술을 했다면, 감염될 확률은 좀 더 낮아진다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HIV_감염_경로_성관계_감염_확률_2

HIV에 감염된 여성이 비감염 남성을 감염시킬 확률  

  • 평균 감염 확률: 0.05% (2,000번 중 1회 감염)
  • 포경 수술 여부 없음: 0.05% ~ 0.1% (2,000번 중 1~2회 감염)
  • 포경 수술 여부 있음: 0.025% ~ 0.05% (2,000번 중 0.5~1회 감염)

HIV 감염 남성이 비감염 남성을 감염 시킬 확률

이 경우는 일반적인 이성과의 성관계가 아닌, 남성 동성 간의 성관계에서 감염될 확률입니다.

HIV 감염에 가장 위험하게 노출된 경우로, 가장 높은 감염 확률을 나타냅니다.

우선 남성 간의 성관계에서도 삽입자(탑, 남성 역할)와 피삽입자(바텀, 여성 역할)에 따라서 감염 확률의 차이가 존재합니다.

HIV 감염 확률에 있어서 가장 초위험고도군은 피삽입자(바텀, 여성 역할)입니다.

이 부분도 다음에 자세히 설명을 드릴 테지만, 간단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남성 간의 성관계에 있어서 피삽입자는 왜 HIV 감염 확률이 제일 높을까?

  • 여성의 생식기와 다르게 항문의 점막은 매우 약해서 쉽게 손상이 된다.
  • 여성의 생식기와 다르게 항문은 체액이 분비되지 않아서 쉽게 상처가 생긴다.
  • 손상된 항문은 HIV가 쉽게 침투할 수 최적의 상태이다.
  • 그러므로 감염 확률이 제일 높다.

그리고 감염된 피삽입자(바텀, 여성 역할)비감염 삽입자(탑, 남성 역할)에게 HIV를 감염시킬 확률 또한 일반적인 여성과의 성관계보다 감염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납니다.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HIV_감염_경로_성관계_감염_확률_3

삽입자(탑, 남성 역할) 감염 남성이 피삽입자(바텀, 남성 역할) 비감염 남성을 감염시킬 확률

  • 평균 감염 확률: 1.4% (70번 중 1회 감염)

피삽입자(바텀, 여성 역할) 감염 남성이 삽입자(탑, 남성 역할) 비감염 남성을 감염시킬 확률

  • 평균 감염 확률: 0.33% (300번 중 1회 감염)

보시면 일반적인 여성과 성관계를 했을 보다 월등하게 감염 확률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참고로 20대 초반의 젊은 비감염이 남성이 HIV 감염 남성과 한 번의 성관계 만으로 HIV에 감염된 국내 사례가 실제로 존재합니다.

구강 성관계를 했을 때 감염될 확률

입으로 성관계를 했을 경우에는 사실상 감염 확률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떤 논문을 살펴보면, 약 0% ~ 0.04%(2,500번 중 1회 감염)으로 나와있으나, 다른 논문에서 감염 확률이 0%에 수렴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입안에 매우 큰 상처와 염증, 충치가 심할 경우 감염 확률이 존재할 수 있으나, 구강 상피세포는 바이러스 침투를 방어하며, 침 안에는 HIV 농도가 매우 낮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구강 성관계로 HIV에 감염된 사례는 없습니다.

성관계 시 HIV 예방 방법

성관계 시 가장 간단하고, 가장 완벽한 HIV 예방 방법을 2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는 HIV 논문에도 기재되어 있는 공식적인 예방 방법입니다.

  1. 성별을 불문하고 불특정 다수와 관계를 맺지 않습니다.
  2. 성관계 시 콘돔을 반드시 사용합니다. 

솔직히 이 두 가지만 잘 지키면 평생 HIV 감염 걱정은 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이렇게 해도 에이즈 포비아에 걸리시는 분들이 계시는데, 그래도 금방 탈출이 가능합니다.

불특정 다수의 경우 유흥업소나 클럽 등에서 특정할 수 없는 다수와 관계를 맺는 경우입니다. 이 경우 감염자를 특정하기 어려우며, 다수랑 관계를 맺기 때문에 당연히 HIV 감염 확률이 올라 갈 수 밖에 없습니다.

콘돔의 경우 원초적으로 HIV 감염 경로를 차단하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예방 방법입니다.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오늘도 짧게 쓸려고 했는데 글이 엄청 길어졌네요.

에이즈 포비아 분들이 원하시는 정보는 아닐 수도 있습니다. 아마 훨씬 디테일한 정보를 원하실 겁니다.

하지만 우선 정확한 정보를 우선 숙지해야 이해를 하고 포비아를 탈출할 수 있습니다.

오늘의 내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HIV 감염 경로 중 성관계가 가장 감염 확률이 낮지만, 대부분 성관계로 HIV에 감염된다.
  2. 성관계로 HIV에 감염될 확률은 평균 0.1% 이하로 매우 낮다.
  3. HIV는 생각보다 쉽게 예방이 된다.  끝.

Summary in English:

This article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transmission routes and probabilities of HIV infection, aiming to clarify common misconceptions and ensure accurate understanding. Key points include:

HIV Transmission Requires Direct Contact with Body Fluids: Blood, semen, vaginal fluids, and breast milk are the primary transmission routes. Casual contact such as shaking hands or sharing food does not transmit HIV.

Risk Levels by Transmission Route:

  • Blood transfusions with contaminated blood: 100% risk.
  • Mother-to-child during childbirth or breastfeeding: 25-30% risk.
  • Shared needles: 0.5-1% risk.

Sexual contact varies by gender, type of activity, and use of preventive measures:

  • Male-to-female transmission: 0.1% per instance.
  • Female-to-male transmission: 0.05% per instance.
  • Male-to-male (receptive role): 1.4% per instance.

HIV Cannot Be Transmitted Through Mosquito Bites or Airborne Contact: These are scientifically proven myths.

Prevention: Consistent use of condoms and avoiding shared needles are the most effective ways to reduce HIV transmission risks.

For more comprehensive details, including statistics and deeper insights, refer to the full article. It provides a complete understanding of HIV transmission probabilities and prevention strategies.

<참고자료>

  1. 김준명 외. (2018). 국내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감염의 감염 경로: 한국 HIV/AIDS 코호트 연구.
  2. 질병관리청. 감염경로 및 전파위험 | 에이즈 일반정보 | 후천성면역결핍증관리.
  3. 이순영. (1996). 지난 11년간 국내 HIV 감염 전파경로 및 발생추계.
  4. 질병관리청. (2023). 한국 HIV/AIDS 코호트 연구 구축운영.
  5. 공공보건위기대응사업단. (2023). 2023년 HIV/AIDS 신고현황.

<다른 글도 보기>

  1. 우리나라 HIV 감염자 수, 정확한 통계로 알아보기
  2. HIV와 에이즈의 차이점, 완벽하게 정리
  3. 에이즈 포비아란?

Leave a Comment